1. 독립기념일에 서명 발효시킨 BBB 법에 따라 내년(2026년)에는 트럼프 감세혜택으로 가구당 평균 2900달러나 혜택을 볼 것으로 계산됐다. 다만 연소득 6만 7천 달러 이하 납세계층에서는 750달러, 11만 9천 달러까지의 중산층에선 1,780 달러 로 평균보다 적은 감세혜택을 보게 …
1. 강력한 이민단속으로 CA주의 민간 고용이 1주일 만에 3.1%p 급락하면서, 팬더믹 이후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불체자 뿐만 아니라, 시민권자들도 27만명이 실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2. LA 항만이 지난 6월, 역대 최고 물동량을 기록했다. 트럼프 관세 유예 종…
1. 지난 4월과 5월 연속 줄었던 소매판매가 6월에 다시 증가했다. 트럼프 관세정책 불확실성으로 2분기 들어 약화됐던 소매판매가 반등한 것으로, 6월엔 한달 전보다 0.6%가 증가했다. 2. 한국인들의 미국이민이 한해 만4천명 수준으로 줄었다. 이민 열기도 식어가고 있…
1. 어제 발표된 6월 CPI 소비자 물가가 2.7%로 급등해 관세로 물가가 흔들리기 시작했다는 우려를 낳았지만, 오늘 발표된 도매물가지수 PPI는 변동이 없어 관세 영향이 아직도 미미하다는 분석이다. 2. 그러나 관세의 영향이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명확해지고,…
1. 미국의 6월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2.7%로 급등해 관세 여파로 전반적인 물가가 흔들리기 시작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달말 기준금리 인하는 거의 물건너 갔으며9월에나 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소비자 물가지수 CPI가 반등했다는 발…
1. LA한인타운의 상권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주 소비층이었던 시니어들의 발길이 뜸해진 반면, 2,30대 젊은 층들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2. 6월 들어 CPI, 소비자물가가 일년 전보다 2.7%, 한달 전보단 0.3% 상승하면서 상승률이 반…
1.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8월) 1일부터 한국과 멕시코, 캐나다 등 25개 주요 교역국에 25%에서35%의 관세를 부과한다며 협상 타결을 압박 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물가급등 없이 천 억달러 이상 관세수입을 올렸지만 하반기에는 가격상승과 소비위축, 경기둔화 …
1.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관세 무역 전쟁이 격해지고, 미국 내 물가 불안도 재현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엔 25%를 브라질과 캐나다엔 50%와 35% 를 각각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조속한 협상 타결을 압박하고 있다. 2. 연방준비은행의 한 고위 인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