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지난 주말 김건희 여사가 대통령경호처 건물에서 비공개로 검찰 조사를 받은 것을 두고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벌였습니다.야권은 '영부인이 검사를 소환한 격'이라고 맹공을 가했고, 여당은 경호 등을 고려한 합당한 조치라고 엄호했습니다.대통령실은 특혜 주장이 과도하다고 반박했습니다.
<리포트>김건희 여사의 비공개 소환 조사와 관련해 민주당은 '특혜'이자 무혐의를 주기 위한 수순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검찰은 용산만을 위해 존재하느냐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야당 대표는 수 차례 공개 소환해 범죄자 낙인을 찍은 검찰이 이번엔 '법 위에 김 여사가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반면 여당은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이뤄진 '합당한 조치'라고 반박했습니다.이른바 '검찰총장 패싱' 논란과 관련해선 문재인 정권 시절 추미애 법무장관의 조치 때문이었다면서, '비공개 소환'도 특혜가 아니라고 받아쳤습니다.
대통령실도 "현직 대통령 부인이 검찰에 소환돼 대면 조사를 받은 것은 전례가 없다"며 특혜 주장은 과도하다고 재차 밝혔습니다.또한, 김 여사 조사 과정에서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한 이원석 검찰총장의 발언에 대해선 "검찰 내부의 문제인 듯하다"고 거리를 뒀습니다.
한편, 조사장소는 김 여사 쪽에서 정한것으로 알려졌습니다특히 김 여사 측이 "조사 사실이 외부로 노출되면 조사를 계속 받기 어렵다"는 우려를 검찰에 전달했던 걸로 전해졌습니다.이 때문에 조사 당일 김 여사를 조사했던 검사들도 휴대전화를 사전에 제출했던 걸로 알려졌습니다.
도이치모터스 조사 종료 시점을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김 여사의 몸 상태가 나빠지면 중간에 조사를 멈출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김 여사 측 입장도 수사팀에 전달됐던 걸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사상 첫 현직 대통령 배우자 조사라는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할 때, 정보 유출과 조사중단 가능성이 검찰총장에게 사후보고를 할 정당한 사유인지를 두고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법조계 일각에선 사건처리 규칙이나 윤리 규정 위반 소지가 있다는 견해도 제기됩니다.
<저작권자 © RK Media,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