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입력폼

연준, 경기침체 아니라 둔화..일각선 "이미 경기침체"

전예지 기자 입력 06.28.2022 10:19 AM 수정 06.28.2022 02:05 PM 조회 3,214
뉴욕연은 총재 "연말 금리 3∼3.5%"..캐시우드 "재고문제 심각"
서머스 "장기침체 가능성 60%"..소비자신뢰지수, 16개월만에 최저
경제가 가파른 금리인상 여파로 곧 침체에 빠질 것이란 관측을 놓고 연방준비제도(Fed)와 시장이 오늘(28일) 뚜렷한 시각차를 보였다.
연준 '3인자'인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올해 (2022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1.5%에 그칠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올해 성장은 지난해(2021년)와 비교해 꽤 많이 느려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이것은 경기침체가 아니다. 물가상승 압력을 줄이기 위해 꼭 필요한 경기둔화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윌리엄스 총재는 오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0.5∼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논의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올해 연말 기준금리가 3∼3.5% 수준에 이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외부 전문가들은 연준의 이러한 시각과 뚜렷한 온도차를 보였다.
유명 투자자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 최고경영자(CEO)는 우리가 이미 경기침체 상태인 것으로 생각한다며 재고 문제가 크다. 내 45년 경력에서 이렇게 재고가 많이 늘어난 것은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진 우드 CEO는 공급망 차질과 지정학적 위기로 인한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미처 예상하지 못했다고 인정하면서 인플레이션이 큰 문제였지만, 이는 또한 우리에게 디플레이션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초부터 맨 먼저 인플레이션 위험을 경고한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도 최근 연준의 매파적 정책이 경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에 동의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일종의 장기적 침체(secular stagnation)로 돌아갈 가능성이 60대 40이라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진정된 후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여 년간 지속된 구조적 저성장 시대로 되돌아갈 것으로 예측했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저축 증가, 경제위기 후 불확실성 증대,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자본재 비용 인하 등을 그 이유로 지목한 서머스 전 장관은 10년물 국채 금리가 3%를 겨우 넘는 상황에서도 경기침체가 초래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비영리 경제조사기관 콘퍼런스보드에 따르면 이달(6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8.7로 지난달(103.2)보다 크게 하락한 것은 물론 지난해(2021년) 2월 이후 1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장기화와 금리 상승으로 미국인들이 미래를 비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댓글 0
0/300
※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