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나긴시간 속에서도 오히려더 또렷해지는 장면이있다. 7월 초 LA 한국문화원에서 상영된국립무용단의 ‘몽유도원무’는 그날보다오늘 더 자주 떠오른다. 짧지만깊은 48분의 시간은 스크린이라는매개를 넘어 조용한 울림으로다가왔고, 비록 극장의 생생한공기를 직접 마시지는 못했지만화면 너머로 전해지는감흥은 오히려 더선명하게 다가왔다. 무대는 우리곁으로 조용히 다가왔고, 몸짓은말보다 먼저 마음을 건드렸다.
이 작품은 조선초기 화가 안견의 ‘몽유도원도’에서 출발한다. 세종의아들 안평대군이 꿈에서본 이상향을 화가는종이 위에 펼쳐냈고, 국립무용단은 그풍경을 절제된 춤으로무대 위에 다시 그려냈다. 복숭아꽃이흐드러지고 강물이 잔잔히흐르는 그 고요한 세계는움직임을 통해 피어났고, 그 안에는말없는 철학이 숨쉬고 있었다. 텅 빈듯한 무대는 오히려더 많은 이야기를 담고있었고, 손끝 하나와 시선의미세한 떨림은 절제된감정으로 관객의 상상력을자극하며 내면의 풍경을흔들어 깨웠다.
그러는동안 문득 떠오른 것은플라톤의 ‘이데아’ 개념이었다. 우리가 눈으로보는 세계는 본질의그림자에 불과하다는 그의철학처럼, 이 무대의 춤은실재 너머의 보이지않는 진실을 향해조용히 다가가고 있었다. 그몸짓은 닿을 수 없기에더 간절했고, 말할 수없기에 더 진실했으며, 그 진심은몸의 선율을 따라묵묵히 전해졌다. 춤은 단순한동작이 아니라 절대적인아름다움에 다가가려는 몸의사유였고, 이 무대는 그자체로 본질을 향한철학적 여정이었다.
음악은초반에는 몰입을 유도하며긴장감을 유지했지만, 시간이 흐르며반복되는 리듬은 감정의환기를 멈추게 하고한자리에 머문 듯한 인상을주었다. 그러나 그고요함조차 무대의 정서와흐름 속에서는 하나의여백이 되어 오히려 관객이스스로 감정의 결을따라가게 만들었고, 국립무용단은 춤과음악, 조명, 미디어아트를 유기적으로결합시켜 전통과 현대, 유형과무형이 어우러지는 감각적인여정을 완성해냈다. 현실의 고단함을잠시 벗어나 도원이라는상상의 공간으로 들어가는그 시간은 누구에게나마음속 어딘가에 품고있는 이상향에 대한기억을 불러일으켰고, 바로 그지점에서 이 무대는 꿈이아니라 현실과도 닿아있었다.
LA라는일상의 도시 한가운데에서 펼쳐진이 조용한 무대는예술이 어떻게 시간과공간을 연결하는지를 보여주는증거였고, 공연이 끝난후에도 그 여운은 쉽게가시지 않았으며, 춤이 남긴감정은 시간이 지날수록더 깊이 스며들어 마음속에자리를 잡았다. 예술은 그렇게한순간을 넘어서 존재하게되며, 그 존재는 삶의어느 결에선가 다시말을 건다.
LA 한국문화원의새로 부임하신 이해돈원장님께서 예술인들과의 깊은소통의 자리를 마련하고, 한국문화를알리고자 하는 열린 태도를보여주신 것도 특히 인상깊었다. 앞으로 이공간이 전통과 창작, 세대와세대를 잇는 예술의 장이되기를 기대하며, 예술은 만남에서생동하고 그 생동이 곧문화의 내일을 만들어간다는사실을 다시금 느끼게되었다.
‘몽유도원무’는단지 하나의 무용이아니었다. 그것은 말없는 철학이었고, 보이지 않는것을 향해 조용히 걸어가는몸의 진심이었다.
한미무용연합회.
진발레스쿨
3727 West. 6th Street #607.
LA CA 90020
Tel:
323-428-4429
#한미무용연합진발레스쿨#진최무용이야기#LA한국문화원#몽유도원무
#KOADanceFederation #JeanBalletSchool #JeanChoiDanceStory
#LAKoreanCulturalCenter #DreamofPeachBlossomLandD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