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우리딸은 늘 어깨가 앞으로 굽어 있었어요. 등 펴라고아무리 말해도 아이가 잘 느끼지 못했는데, 발레를 배우면서 자세가 정말 좋아졌어요.” 학부모님들이 자주 들려주는 말이다. 발레는 단순히춤을 배우는 시간이아니라, 생활 속 자세와품격을 바꾸어 주는훈련임을 다시금 느끼게한다.
수업을 하다보면 어린 제자들이 거울앞에서 팔을 들 때어깨가 앞으로 말리고등이 굽는 경우가 많다. 스스로는크게 의식하지 못해도, 보는이의 눈에는 자신감이없어 보이고 움직임이작아 보인다. 반대로 등이곧게 펴지고 어깨가안정되면 팔은 가볍게 뻗어나가고 동작은 훨씬커진다. 일상에서도 마찬가지다. 천천히 걸을 때 등이구부정하면 힘이 빠져 보이지만, 발레리나처럼등을 곧게 세우면 한걸음만으로도 당당한 인상을준다.
발레에서는 이를위해 턴아웃(turn-out)과풀업(pull-up)을 강조한다. 턴아웃은 고관절에서부터발끝까지 같은 방향으로 열어주는것이고, 풀업은 척추를곧게 세우고 몸을위로 끌어올려 어깨와견갑골을 안정시키는 것이다. 아래에서는턴아웃이 균형을 잡아주고, 위에서는그 긴장이 위로뻗어 올라갈 때무용수의 등은 길게 펴지고어깨는 당당해진다. 발레의 품격은이 보이지 않는힘에서 비롯된다.
예술의 역사속에서도 발레는 늘특별한 상징이었다. 루이 14세는 젊은시절 밤의 발레(Ballet de la Nuit)에서태양신 아폴로로 무대에섰는데, 곧게 선 척추와펼친 팔동작이 왕으로서의당당함을 보여주었다. 발레 동작이단순히 춤이 아니라 올바른자세에서 나오는 힘과자신감을 표현한 것이다. 화가드가의 에뚜알(L’Étoile) 속 발레리나역시 무대 위에서 척추를길게 세우고 어깨를활짝 펴며 무대 빛속에서 당당히 서있다. 이처럼 발레는 왕의무대에서도, 화가의 그림에서도곧은 자세가 주는힘과 아름다움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오늘날 아이들이발레를 배우며 등을펴고 어깨를 세우는것도 같은 맥락에서 몸을통해 자신감을 키우는훈련이 되는 것이다.
우리 일상에서도등과 어깨는 말없는언어다. 곧게 선 사람의등에서는 자신감이 드러나고, 움츠린어깨에서는 기운이 빠져보인다. 발레는 그무언의 언어를 가장섬세하게 드러내는 예술이다. 결국보이지 않는 힘, 턴아웃과 풀업으로세워진 등과 어깨에서 우리의삶이 당당하게 열리고아이들의 미래가 든든하게세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발레를배우는 것은 단순히 춤을익히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자세를 몸에 새기는 훈련이다. 성장기아이들에게는 척추와 관절을바르게 세워주고, 균형 잡힌체형과 강한 체력을 만들어준다. 무엇보다 자신을 표현하는용기와 무대에서 느끼는성취감은 아이들의 자존감을키워 준다. 그래서 아이들에게발레는 몸을 위한 운동을넘어, 삶을 곧게 세우는철학의 시작이 된다.
www.koadance.orgwww.balletjean.com
한미무용연합회.
진발레스쿨
3727 West. 6th Street #607.
LA CA 90020
Tel:
323-428-4429
#한미무용연합 진발레스쿨#진최의무용이야기#발레자세 #아이들의미래 #당당한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