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수록 뇌 건강이 걱정인 분들이 많습니다. 예전에는 또렷했던 기억이 최근에는 흐릿해 지고, 늘 쓰는 단어까지 생각이 안나면 혹시라도 치매는 아닐까 걱정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의외로 뇌 건강을 지키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바로 운동인데요, 아무리 젊은 시절에 운동을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중년기에 신체 활동을 늘리면 치매를 유발하는 알츠하이머의 위험 요인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페인 연구진이 학술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Alzheimer’s & Dementia)에 발표한 연구 결과를 보면 중년기에 신체 활동을 늘린 사람은 뇌에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적인 플라크를 형성하는 끈적한 단백질 조각인 아밀로이드 베트 수치가 낮았습니다.
이와 달리 운동을 하지 않고 주로 앉아서 생활한 사람들은 활동량이 많은 또래에 비해 알츠하이머병에 취약한 주요 뇌 영역 피질이 얇았습니다.
연구진은 인지 기능이 정상인 평균 나이 60세의 중년 남녀 337명을 4년간 추적 관찰했습니다. 이들 중 86.3%는 부모 중 한명이 알츠하이머병 병력이 있는 고 위험군이었습니다. 연구진은 이들을 세계보건기구(WHO) 지침을 따르지 않은 비활동적 그룹, WHO 지침을 따르는 그룹, 지침을 따르다가 그만둔 그룹, 새롭게 지침을 따르기 시작한 그룹, 총 4개로 나누었습니다.
참고로 WHO는 중년 및 노년층의 성인에게 주당 150~300분의 중간 강도의 운동(빠르게 걷기) 또는 주당 75~150분의 고강도의 운동(조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 운동을 하지 않은 그룹은 운동을 한 그룹에 비해 알츠하이머병에 취약한 뇌 영역의 피질 두께가 더 얇았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WHO 지침을 새롭게 따르기 시작한 그룹이 중간에 포기한 그룹보다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 정도가 낮았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운동은 언제 시작해도 되며 늦은 시기란 없다는 것이죠!
나이가 들수록 운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합니다. 치매 뿐만 아니라 비만을 막아주고 당뇨 위험도 줄여줍니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허벅지 둘레와 당뇨병 유병률의 상관 관계를 조사한 연구가 있었는데요, 결과는 허벅지 둘레가 1cm씩 줄어들 때마다 당뇨에 걸릴 위험이 남자는 8.4%, 여자는 9.6%나 증가했습니다. 허벅지 근육을 늘리기 위해서는 당연히 운동이 필수겠죠.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가볍게 스쿼트만 해도 점점 줄어드는 허벅지 근육을 지킬 수 있습니다.
운동에 있어 늦은 시기는 없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시작하여 소중한 건강을 지키고 사랑하는 가족들과 행복하게 생활해 볼까요?
건강지킴이 블로그
https://blog.naver.com/umino91
----
후코이단 「우미노시즈쿠」는 고객 분들께 도움이 되는 건강 정보를 보내드립니다.
무료 전화: 1-866-566-9191(한국어)
https://www.kfucoidan.com/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