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 장애(IAD)”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인터넷 문제들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원원은 1998년에 정신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기준을 처음 발표한 Kimberly S Young 박사이며, 그녀는 심리학자이자 뉴욕지역의 세인트 보나벤처 대학교 교수였다. 처음 결혼한 친구의 남편이 채팅에 빠져서 이혼문제까지 거론되는 것을 보면서 인터넷 중독 장애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고 한다, 후일 인터넷과 온라인 문제에 대한 전문가로 되었으며, 피츠버그 대학 심리학 교수로 근무하면서 1995년에 인터넷 중독 센터를 설립했다. 첫 저서 “Caught in the net”은 인터넷 중독의 증상들을 인식하는 방법과 회복을 위한 승리전략" 등의 내용들을 중심으로 1998년에 출판했으며, 그 후에도 여러 중독관련 책자들과 논문들을 발표 하셨다. 애석하게도 인터넷 중독 회복치유에 개척자이신 박사님은 2019년 2월에 3년간의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나셔서 많은 사람들에게 귀한 업적들과 그리움을 남기셨다.
중독증 치유 역사를 요약해보면 19세기와 20세기 초 코로나 19사태(2020~2023년) 이전까지는 중독 상담 치료기관들도 있었지만 세계도처에서 미국 알코올 회복모임 프로그램을 본 따서 술뿐만 아니라 도박, 마약, 게임, 음식, 쇼핑, 성 등 중독별로 미국 AA 회복모임의 12단계 원리를 적용하는 회복모임들이 주축을 이루었었다.
한국 알코올 회복모임은 아일랜드계 천주교 신부였던 안성도 신부가 미국에서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 모임을 통해 단주하고 귀국해서 강원도 지역에서 최초로 한국 AA 모임을 시작했으며, 1986년 4월 20일 미국 AA 교재를 번역해서 “익명의 알콜중독자들” 초판이 발간되었다. 또 한국 단도박 회복모임은 백신부(Paul. W.)가 휴가 때 6개월간 미국 GA 회복모임에 참석했다가 갖고 온 미국 GA 교재를 한글로 번역해 1984년 6월 부평에서 첫 회복모임을 가졌고, 한글 단도박 교재 초판은 1994년 6월13일에 발행되었다.
필자는 미국 LA에서 1998년에 CA 문제도박협의회에서 주최했던 공인 도박 상담자 교육을 이수한 후 1999년 10월1일에 한인 중독증 회복선교센터를 설립했다. 낮에는 생업에 종사하면서 상담전화를 받았고 50여권의 영문교재들을 구입해 공부하며 매주 3~4회 저녁시간에 실시한 마약, 알코올, 도박, 게임 등 중독별 회복모임에서 새로운 자료들을 제시하기 위해 가능한 한인 가정문화에 알맞게 그리고 부모는 한국어 자녀들은 영어권이기 때문에 한글과 영어로 프린트해서 12년간 제공해 2011년경에는 축적된 회복자료들이 3천여페이지나 되었다.
이중에 한인 회복모임 참석자들의 반응이 좋았던 내용들을 중심으로, 무엇보다도 AA 12단계 회복원리들을 실제 삶속에 실천하기 쉽게 단계별로 편집했고, 또한 바이블 12단계 내용까지 포함해서 2012년 11월 9일에 모든 한인 중독자들과 가족들이 함께 회복치유와 재발방지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중독증 치유 교재”를 발간했다.
12단계 회복원리는 하나님께서 온갖 노력으로도 중독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100여명의 미국 초대 알코올 회복모임 참석자들을 통해서 모든 중독가정들에게 주신 중독치유 프로그램 이다. 요즘에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대폭 증가와 남용으로 인한 2중 및 다중중독자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중독별 회복모임” 보다는 “합동 회복모임” 제공이 더 필요하고 효과적 일 것이다.
2020년 3월에 발표된 스탠포드 의과 대학 연구원들과 그의 공동 연구자들이 실시한 포괄적인 분석 자료들에 의하면, AA 12단계 회복프로그램이 단주유지에 가장 효과적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무작위 대조연구를 포함한 27건의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에서도 알코올 회복모임(AA)의 12단계 회복프로그램이 인지행동치료(CBT) 및 동기부여 향상요법 등과 같은 다른 치료법들 보다 1년(12개월), 2년(24개월) 및 3년(36개월) 간 지속적으로 단주유지를 달성하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145명의 과학자들의 연구와 10,080명의 참가자들의 결과를 포함한 35개의 연구 평가에서도 정신의학 및 행동과학 교수인 Keith Humphreys 박사와 그의 동료 연구자들은 AA 회복프로그램이 단주를 달성하는데 심리치료보다 거의 항상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아냈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AA모임 참여가 건강관리 비용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문제관련 회복모임들은 2000년대부터는 모빌폰과 스마트폰이 출시되면서는 데스크톱 컴퓨터관련 인터넷 중독보다는 테크놀로지 중독과 디지털 중독이라는 용어들까지 사용하게 되었고, 인터넷 중독 장애 상담 및 회복기관들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인터넷과 테크놀로지 중독은 최근 몇 년 동안 주목 받기 시작했지만 중독의 질병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1935년부터 수백만 명의 중독자들이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을 모델로 서로 돕는 회복모임을 통해 그들의 중독성 있는 행동으로부터 지속 가능하고 장기적인 자유를 발견할 수 있다.
미래의 인터넷 문제에는 잘못된 정보와 허위 정보의 증가,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의 침식, 감시 및 통제의 증가 가능성, 기존의 사회적 불평등의 악화 등이 포함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전문가들은 자율 무기의 확산, 사이버 전쟁 및 디지털 시스템이 너무 커지고 피할 수없는 중요성을 갖게 되어 잠재적으로 사용자의 의존성과 통제로 이어질 가능성과 관련된 문제들이 예견된다고 한다.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코로나 19 이전까지 20여 년간 중독별 오프라인 회복모임을 매주 실시했으며, 코로나 19 이후부터는 줌 영상모임을 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부터는 과거 도박, 마약, 알코올 등과 같이 어느 1가지의 중독문제보다는 요즘 디지털 중독문제들이 날로 더 욱 심해지고 있어서, 가장 많이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남용 예방과 회복모임을 실시해서 참석자들이 12단계 회복원리를 학습해서 일상생활에 적용하게 되면 도박, 알코올, 마약 등 다른 중독문제들도 함께 회복될 수 있게 되어 중독적인 행위나 물체들을 하지 않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중독으로 망가졌던 뇌의 기능도 정상적인 도파민 생성 시스템으로 되돌릴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인터넷과 온라인이 더 개발 될수록 인터넷과 온라인 중독문제들은 더욱 많이 심각해 질 것이므로 개별상담보다는 그룹치료가 더 필요해질 것이다.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세터에서는 지난 25년간 중독별 오프라인 회복모임과 영상 회복모임을 실시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한인가정들을 시차가 비슷한 지역별로 줌 온라인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회복모임을 추진하고 있다. 많은 참여와 후원 그리고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
이해왕 선교사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상담전화: 미국 909-595-1114 (앤서링에 상담용건을 남겨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