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마당

  • 방송시간 (월∼금) 10:00 am ∼ 12:00 pm
  • 진행 김형준 · 우정아
  • 프로듀서 제작국
  • 우편주소 3700 Wilshire Blvd. #600 Los Angeles CA 90010
    아침마당 담당자앞
  • 전화참여 213) 674-1540
  • 카톡참여 radiokorea1540

서리가 내리는 상강(霜降)추수가 마무리되는늦가을의 절기 입니다

글쓴이: 허정1  |  등록일: 11.06.2016 17:03:14  |  조회수: 2090
24절기 중 열여덟 번째 절기. (유래) 쾌청한 날씨가 이어지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지므로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리는 늦가을의 계절이다.
9월 들어 시작된 추수는 상강 무렵이면 마무리가 된다.

이때는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국화도 활짝 피는 늦가을의 계절이다. 조선시대에는 상강에 국가의례인 둑제(纛祭)를 행하기도 했다. 둑제는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행렬 앞에 세우는 의장(儀仗)인 둑에 지내던 제사를 가리킨다.

권문해(權文海)의 『초간선생문집(草澗先生文集)』에서는 상강에 대해 “한밤중에 된서리가
팔방에 두루 내리니, 숙연히 천지가 한번 깨끗해지네. 바라보는 가운데 점점 산 모양이
파리해 보이고, 구름 끝에 처음 놀란 기러기가 나란히 가로질러 가네.”라고 썼다.
김형수(金逈洙)의 ‘농가십이월속시(農家十二月俗詩)’에도 한로와 상강에 해당하는 절기의
모습을 “초목은 잎이 지고 국화 향기 퍼지며 승냥이는 제사하고 동면할 벌레는 굽히니”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상강은 가을의 끝 절기로서 계절의 변화를 뚜렷이 담고 있다.

정의 = 음력 9월에 드는 24절기의 하나로서 말 그대로 서리가 내리는 시기를 뜻하는 절기.

내용 =

상강은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이 210도에 이를 때로 양력으로
10월 23일 무렵이 된다. 이 시기는 가을의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는 대신에 밤의 기온이
매우 낮아지는 때이다. 따라서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리며, 온도가
더 낮아지면 첫 얼음이 얼기도 한다.

이때는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국화도 활짝 피는 늦가을의 계절이다.
중구일과 같이 국화주를 마시며 가을 나들이를 하는 이유도 이런 계절적
사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상강에 국가의례인 둑제[纛祭]를 행하기도 했다.

특히 농사력으로는 이 시기에 추수가 마무리되는 때이기에 겨울맞이를 시작해야 한다.
권문해(權文海)의 『초간선생문집(草澗先生文集)』을 보면 상강에 대한 기록이 자세하다.
“한밤중에 된서리가 팔방에 두루 내리니, 숙연히 천지가 한번 깨끗해지네. 바라보는 가운데
점점 산 모양이 파리해 보이고, 구름 끝에 처음 놀란 기러기가 나란히 가로질러 가네.

시냇가의 쇠잔한 버들은 잎에 병이 들어 시드는데, 울타리 아래에 이슬이 내려
찬 꽃부리가 빛나네. 도리어 근심이 되는 것은 노포(老圃)가 가을이 다 가면,
때로 서풍을 향해 깨진 술잔을 씻는 것이라네(半夜嚴霜遍八紘 肅然天地一番淸 望中漸覺山容瘦 雲外初驚雁陳橫 殘柳溪邊凋病葉 露叢籬下燦寒英 却愁老圃秋歸盡 時向西風洗破?).”
중국에서는 상강부터 입동 사이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자연의 현상을 설명하였다.

이를테면 초후(初候)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는 때, 중후(中候)는 초목이 누렇게 떨어지는
 때이며, 말후(末候)는 겨울잠을 자는 벌레들이 모두 땅속에 숨는 때라고 한다.

김형수(金逈洙)의 ‘농가십이월속시(農家十二月俗詩)’에도 한로와 상강에 해당하는 절기의
모습을 “초목은 잎이 지고 국화 향기 퍼지며 승냥이는 제사하고 동면할 벌레는 굽히니”라고
표현한 것을 보아 중국의 기록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210도 되는 때이고 한로와 입동 사이에 들며, 대체로 이 시기는 맑고
상쾌한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운이 뚝 떨어지면서 서리(霜)가 내리기(降) 시작합니다.

옛 사람들은 상강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①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② 초목이 누렇게 되며,

③ 동면(冬眠)하는 벌레가 모두 땅에 숨는다고 하였습니다.

서서히 겨울잠에 들어갈 동물들은 동면을 준비합니다.

봄에 들어 밖으로 나왔던 생명들이 다시 안으로 들어갑니다.

봄부터의 바빴던 농사일도 추수의 가을걷이가 마무리되면서 상강 때쯤이면

거의 끝이 납니다.

다음해 농사에 대비하는 잔손질만이 남았습니다.

<농가월령가.도 9월령에서는 "들에는 조, 피더미, 집 근처 콩, 팥가리, 벼 타작

마침 후에 틈나거든 두드리세......." 라고 읊조립니다.

*내용*

한로와 입동 사이에 들며, 음력 9월, 양력 10월 23·24일께가 된다.
태양의 황경이 210°되는 때이다. 이 때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지므로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리는 늦가을의 계절이다.

옛날의 중국사람들은 상강으로부터 입동 사이의 기간을 5일씩 삼후(三候)로 세분하여
초후(初候)에는 승냥이가 산 짐승을 잡고, 중후(中候)에는 초목이 누렇게 떨어지며,
말후(末候)에는 겨울잠을 자는 벌레가 모두 땅에 숨는다고 하였다.

말후에 가서 벌레가 이미 겨울잠에 들어간다고 한 것으로 보아 계절적으로 추울 때이다.
이는 농경시필기(農耕始畢期)와도 관련된다. 봄에 씨뿌리고 여름에 가꾸어서
가을에 거두어 겨울을 나는 것이 농본국(農本國)인 우리 나라 사람들의 생활인 것처럼,
9월 들어 시작된 추수는 상강 무렵이면 마무리가 된다.

「농가월령가」도 9월령에서는 “들에는 조, 피더미, 집 근처 콩, 팥가리, 벼 타작마침 후에
틈나거든 두드리세……”로 율동감있게 바쁜 농촌생활을 읊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농사기술의 개량으로 이러한 행사들이 모두 한 절기 정도 빨라지고 있다.

- 모셔온 글-
DISCLAIMERS: 이 글은 개인회원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으며, 이 내용을 본 후 결정한 판단에 대한 책임은 게시물을 본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는 이 글에 대한 내용을 보증하지 않으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라디오코리아의 모든 게시물에 대해 게시자 동의없이 게시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 등의 행위는 게시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금합니다.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하는 경우 저작재산권 침해의 이유로 법적조치를 통해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an individual, and the author is full responsible for its content. The viewer / reader is responsible for the judgments made after viewing the contents. Radio Korea does not endorse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assumes no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using the information. In principle, all posts in Radio Korea are prohibited from modifying, copying,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all or part of the pos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ublisher. Any modification, duplication, distribution, or transmission without prior permission can subject you to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청취자 게시판

전체: 1,012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