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유상종하는 자들의 대설주의보

글쓴이: 한마당  |  등록일: 01.29.2023 13:39:52  |  조회수: 1126
“여민동락(與民同樂)을  '동거동락(同據同樂)하며 유유동락(類類同樂)'으로 만든 복마전(伏魔展)에서                           
 희희낙낙(喜喜樂樂)거리며
’술 익는 마을을 찾는 사람들‘에게
쇠귀에 경 읽기(牛耳讀經)지만 정중히 모셔 왔습니다.”

퇴계가 벼슬을 사양 고향에 돌아와 제자 들을 양성한다는 소식이 널리 퍼지자 일찌기 영의정의 벼슬을 지낸 바 있는 쌍취헌 권철이 퇴계 를 만나고자 도산 서당을 찾아 갔다.
권철은 그 자신이 영의정의 벼슬까지 지낸 사람인 데다가 그는 후일 임진왜란 때 행주산성에서 왜적을 크게 격파한 만고 권률 장군의 아버님이기도 하다. 권률장군은 선조 때의 명재상이었던 이항복의 장인 이기도 했다.
서울서 예안까지는 5백50리의 머나먼 길이다.

영의정까지 지낸 사람이 머나먼 길에 일개 사숙의 훈장을 몸소 찾아 온다는 것은, 그 당시의 관습으로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권철은 퇴계를 친히 방문하기로 했던 것.
도산서당에 도착 하자 퇴계는 동구 밖까지 예의를 갖추어 영접하였다. 그리하여 두 學者는 기쁜 마음으로 학문을 토론하였다.

거기까지는 좋았다. 그러나 식사 때가 큰 문제였다.
끼니 때가 되자 저녁상이 나왔는데, 밥은 보리밥에 반찬은 콩나물국과 가지잎 무친 것과 산채 뿐으로 고기 붙이라고는 북어 무친 것 하나가 있을 뿐이 아닌가.
퇴계는 평소에도 제자들과 꼭 같이 초식 생활만 해 왔었는데 이 날은 귀한 손님이 오셨기 때문에 구하기 어려운 북어를 구해다가 무쳐 올렸던 것이다. 평소에 산해진미만 먹어오던 권철 대감에게는 보리밥과 소찬이 입에 맞을 리가 없었다. 그는 그 밥을 도저히 먹어낼 수가 없어서 몇 숟갈 뜨는 척 하다가 상을 물려버리고 말았다.

그러나 퇴계는 다음 날 아침에도 그와 똑같은 음식을 내놓았다.
권철 대감은 이날 아침에도 그 밥을 먹어낼 수가 없어서 어제 저녁과 마찬가지로 몇 숟갈 떠먹고 나서 상을 물려버렸다. 주인이 퇴계가 아니라면 투정이라도 했겠지만, 상대가 워낙 스승처럼 존경해 오는 사람이고 보니 음식이 아무리 마땅치 않아도 감히 그런 말이 나오지 않았던 것이다.
사태가 그렇게 되고 보니 권철 대감은 도산서당에 며칠 더 묵어가고 싶어도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아 더 묵고 있을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다음 날은 예정을 앞당겨 부랴부랴 떠날 수밖에 없었는데, 권철 대감은 작별에 앞서 퇴계에게 이런 말을 하였다.

"이렇게 만나고 떠나게 되니 매우 반갑소이다. 우리가 만났던 기념으로 좋   
은 말을 한 말씀만 남겨 주시지요"
"촌부가 대감 전에 무슨 여쭐 말씀이 있겠나이까, 그러나 대감께서 모처럼 말씀하시니 제가 대감에게서 느낀 점을 한 말씀만 여쭙겠습니다"
퇴계는 옷깃을 바로 잡은 뒤에 다시 이렇게 말했다.
"대감께서 원로에 누지를 찾아 오셨는 데 제가 융숭한 식사대접을 못해 드려서 매우 송구 스럽습니다. 그러나 제가 대감께 올린 식사는 일반 백성 들이 먹는 식사에 비기면 더 할 나위 없는 성찬이었습 니다. 백성들이 먹는 음식은 깡보리밥에 된장 하나가 고작.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감께서는 그 음식 입에 맞지 않아 제대로 잡수시지 못하는 것을 보고 저는 이 나라의 장래가 은근히 걱정되옵니다.

무릇 정치의 요체는 여민동락(與民同樂)에 있사온데 관과 민의 생활이 그처럼 동떨어져 있으면 어느 백성이 관의 정치에 심열성복하겠나이까. 믿고따르겠습니까? 대감께서는 그 점에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랄 뿐이옵니다."
그 말은 폐부를 찌르는 듯한 충언이었다.
퇴계가 아니고서는 영의정에게 감히 누구도 말할 수 없는 직간이었다.
권철 대감은 그 말을 듣고 얼굴을 붉히며 머리를 수그렸다.
"참으로 선생이 아니고는 누구에게 서도 들어볼 수 없는 충고이십니다.

나는 이번 행차에서 깨달은 바가 많아 집에 돌아가거든 선생 말씀을 잊지 않고 실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능지성인이라고나 할까. 권철 대감은 크게 깨달은 바 있어 퇴계의 충고를 거듭 고마워하였다. 그리고 올라오자 가족들에게 퇴계의 말을 자상하게 전하는 동시에 그날부터 퇴계를 본받아 일상생활을 지극히 검소하게 해 나갔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 이 나라의 정치권 중 에는 퇴계 선생처럼 직언을 하는 분도, 권 정승처럼 직언을 받아들일 줄 아는 분도 보이지 않는다.

오직 시궁창에서 개싸움만을 하는 시레비 잡놈들 뿐이니. 그래서 국민은 불안하다. 나라복이 지지리도 없다.
이 아침 옛 선현의 아름다운 행적이 더욱 그리운 것은 한파가 몰아치는 추위와 대설주의보(?) 때문만이 아닐것.
DISCLAIMERS: 이 글은 개인회원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으며, 이 내용을 본 후 결정한 판단에 대한 책임은 게시물을 본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는 이 글에 대한 내용을 보증하지 않으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라디오코리아의 모든 게시물에 대해 게시자 동의없이 게시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 등의 행위는 게시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금합니다.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하는 경우 저작재산권 침해의 이유로 법적조치를 통해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an individual, and the author is full responsible for its content. The viewer / reader is responsible for the judgments made after viewing the contents. Radio Korea does not endorse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assumes no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using the information. In principle, all posts in Radio Korea are prohibited from modifying, copying,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all or part of the pos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ublisher. Any modification, duplication, distribution, or transmission without prior permission can subject you to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댓글
  • 한마당  01.29.2023 13:44:00  

    유유상종 (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동거동락(同據同樂)    서로 의지하며 같이 즐김

    동고동락(同苦同樂)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함

    유유동락(類類同樂)    끼리끼리만 즐김

  • 한마당  01.29.2023 13:46:00  

    대설주의보 -최승호-

    쬐그마한 숯덩이만한 게 짧은 날개를 파닥이며……
    날아온다 꺼칠한 굴뚝새가
    서둘어 뒷간에 몸을 감춘다.
    그 어디에 부리부리한 솔개라도 도사리고 있다는 것일까.
    길 잃고 굶주리는 산짐승들 있을 듯
    눈더미의 무게로 소나무 가지들이 부러질 듯
    다투어 몰려오는 힘찬 눈보라의 군단,
    때죽나무와 때 끓이는 외딴집 굴뚝에
    해일처럼 굽이치는 백색의 산과 골짜기에
    눈보라가 내리는 백색의 계엄령.

  • 한마당  01.29.2023 16:36:00  

    여민동락 (與民同樂 )

    임금이 백성과 함께 즐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