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그 5년 후

글쓴이: youngtrans  |  등록일: 09.16.2013 09:36:40  |  조회수: 1385
Tea Time Club 제공입니다.
전문에 대한 문의는 youngmanandy@hotmail.com으로 해 주세요.



Time Cover Story September 23, 2013
The Myth of Financial Reform
Five years after the crisis, growth is back, but risks remain. What's needed to finish the job and keep your money safe  /  By Rana Foroohar

타임 커버스토리 2013년 9월 23일
금융개혁의 신화 (=금융개혁에 대하여 우리가 잘못 알고있는 지식)
위기발생 5년 후, 다시 경제성장이 찾아왔으나 리스크는 여전하다.
경제회복을 마무리하고 우리들의 돈을 안전하게 지키는 데 필요한 조치는 무엇인가? / Rana Foroohar 컬럼
1.        Five years on from the financial crisis, the disaster that was Lehman Brothers and its brutal, economy-shredding aftermath can seem a distant memory. We're out of the Great Recession, and growth is finally back. America's biggest banks are making record profits. The government is even earning money from its bailouts of institutions like AIG, Fannie Mae and Freddie Mac. The Obama Administration, which is pushing hard to complete the new financial rules mandated by the Dodd-Frank reform act deserves credit for making our financial system safe--or that's the line being tossed around by current and past members of the crisis team.
* Lehman Brothers Holdings Inc. (former NYSE ticker symbol LEH) was a global financial services firm. Before declaring bankruptcy in 2008, Lehman was the fourth-largest investment bank in the US (behind Goldman Sachs, Morgan Stanley, and Merrill Lynch), doing business in investment banking, equity and fixed-income sales and trading (especially U.S. Treasury securities), research, investment management, private equity, and private banking. On September 15, 2008, the firm filed for Chapter 11 bankruptcy protection following the massive exodus of most of its clients, drastic losses in its stock, and devaluation of its assets by credit rating agencies. Lehman Brothers' bankruptcy filing is the largest bankruptcy in U.S. history, and is thought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unfolding of the late-2000s global financial crisis.      리먼 브러더스 홀딩스(Lehman Brothers Holdings Inc.)는 1850년에 생긴 다각화된 국제 금융 회사였다. 투자은행, 증권과 채권 판매, 연구 및 거래, 투자관리, 사모투자, 프라이빗 뱅킹(PB;자산관리) 등에 관여하고 있고 미국 국채 시장의 주 딜러이기도 하다. 2008년 9월 15일, 약 6천억 달러($613 billion)에 이르는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고 파산 신청을 했다.
* The Great Recession (also referred to as the Lesser Depression, the Long Recession, or the global recession of 2009) is a marked global economic decline that began in December 2007 and took a particularly sharp downward turn in September 2008.  The bursting of the U.S. housing bubble, which peaked in 2006, caused the values of securities tied to U.S. real estate pricing to plummet, damaging financial institutions globally. 대불황: 2008-2009년의 전세계적 극심한 경기침체 (2006년 최고조에 달한 미국 주택거품이 터지며 전세계적 금융기관들의 동반하락으로 시작) 
* The 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 (commonly referred to as Dodd-Frank) was signed into federal law by President Barack Obama in 2010. It brought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to financial regulation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regulatory reform that followed the Great Depression.  대공황이후 최대의 변화를 담은 금융개혁법안 (2010년 오바마 대통령의 서명으로 발효됨)
economy-shredding aftermath: 경제를 풍지박산낸 후유증  shred 조각, 파편; 갈가리 찢다, 조각조각으로 하다aftermath (사건 등이) 여파, 후유증, 결과
금융위기 후 5년이 지난 현재, Lehman Brothers(리먼 브라더스) 파산이라는 재난과  그로인해 무자바하게 경제를 갈기갈기 찢어놓은 후유증이 오래전의 추억처럼 보인다. 우리는 대불황의 터널을 빠져나왔고 마침내 성장의 시기를 다시 맞았다. 미국의 최대 은행들이 기록적인 이윤을 내고 있다. 한때 구제금융으로 살려놓은AIG, Fannie Mae, Freddie Mac 등의 금융기관들로 부터 미국정부가 소득까지 올리고 있는 현황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도드 프랭크 개혁법안(Dodd-Frank Reform Act)에서 강제규정으로 정해진 새로운 금융법규를 완성시키기 위해 온힘을 다하며 노력한 결과 우리의 금융시스템을 좀 더 안전하게 만들어 놓았다는 공로를 인정받았다. 적어도 그것은 현재와 과거의 오바마 행정부 위기관리팀 멤버들이 띠우고 있는 말이다.
economy-shredding aftermath: 경제를 풍지박산낸 후유증  shred 조각, 파편; 갈가리 찢다, 조각조각으로 하다aftermath (사건 등이) 여파, 후유증, 결과
2.        But amid all the backslapping, a larger truth is being lost. The financialization of the American economy, a process by which we've become inexorably embedded in Wall Street, just keeps rolling on. The biggest banks in the country are larger and more powerful than they were before the crisis, and finance is a greater percentage of our economy than ever. For a measure of this, look no further than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which just ditched Alcoa, Hewlett-Packard and retail lender Bank of America in favor of the most high-flying investment bank of all, Goldman Sachs.
amid all the backslapping:친숙한 격려의 행위가 한창인 가운데  (backslapping - the practice of making an effusive display of friendliness, as by slapping people on the back.)  inexorably 무정하게, 가차없이high-flying: having great ambition or ability 야망과 능력이 뛰어난; 잘 나가는

하지만 서로를 격려하는 이런 말들을 하는 와중에 더 큰 진리가 실종되었다. 미국경제가 금융상품화되는 과정에서 우리는 여지없이 월가에 깊이 속하게 되었으며 그런 과정은 반복되어 굴러간다. 미국 최대의 은행들은 위기 이전보다 더 커지고 더 강력해졌으며, 금융이 경제에 차지하는 비율이 예전보다 더 커졌다. 이런 현상을 측정하려면, 다우존스 산업 지수 평균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다우는 최근 알코아와 휼렛 패카드 및 소매 대출을 많이 하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Alcoa, Hewlett-Packard and retail lender Bank of America)를 버리고 큰 야망을 품으며 잘 나가는 골드만 삭스를 선택하였다. (주: 최근 골드만 삭스의 주가가 앞에 열거한 주식에 비하여 많이 올랐다는 의미)

3.        Given all this, is your money really any safer over the long haul than it was five years ago? And have we restructured our financial industry in a way that will truly limit the chances of another crisis? The answer is still not an unequivocal yes, because banking is as complex and globally intertwined as ever. U.S. financial institutions remain free to gamble billions on risky derivatives around the world. A crisis in Europe, for instance, could still potentially devastate a U.S. institution that made a bad bet--and send shock waves through other key sectors, like the $2.7 trillion held in U.S. money-market funds, much of which is owned by Main Street investors who believe these funds are just as safe as cash.
over the long haul:장기에 걸쳐, 장기간 동안Main Street investors: 월가의 증권회사나 기관투자가에 상대되는 말로 일반 투자가, 전반적인 경제를 구성하는 직원 투자가 등을 의미
이런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투자해도) 우리 돈이 5년 전보다 정말 안전한 것일까? 그리고 앞으로 또다른 위기를 맞을 기회를 진정 최소한으로 국한시키는 방식으로 금융업계가 구조조정되었는가? 그런 질문에 대한 답변이 한결같이 그렇다라고 나올 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왜냐하면 금융업이라는 것이 그 어느때보다 더 복잡하고 전세계적으로 얽혀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전세계에 걸쳐 위험부담이 큰 파생상품에 수십억 달러를 도박을 하듯 마음대로 투기를 할 자유가 있다. 예를들면, 유럽에서의 위기는 결과가 안좋은 투기를 하였던 미국금융기관을 여전히 파멸에 이르게 하여 다른 부문에까지 충격파를 보낼 수 있다. 이를테면, 미국의 머니마켓 기금에 있는 2조7천억 달러의 대부분은 이런 기금이 현금과 마찬가지로 안전하다고 믿는 일반 투자가들의 돈이다. 
4.        Although this scenario isn't necessarily probable--many U.S. banks have reduced risk and increased capital--it is possible. We're relying on the banks' good intentions and self-interest, a strategy that didn't work out so well before. The truth is, Washington did a great job saving the banking system in '08 and '09 with swift bailouts that averted even worse damage to the economy. But swayed too much by aggressive bank lobbying, it has done a terrible job of reregulating the financial industry and reconnecting it to the real economy. Here are five things that are still badly needed to reduce the risks for everyone.
swift bailouts:신속한 구제금융bailout 낙하산 탈출; (특히 재정적인) 긴급원조
많은 미국은행들이 리스크를 줄이고 자본금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이런 (극단적인 최악의) 시나리오는 발생할 확률이 그리 높지는 않겠지만, 발생할 가능성은 있다. 우리는 여전히 전에 잘 지켜지지 않았던 전략에 의존하고 있는데, 즉 은행의 선의와 사리추구를 믿고 의지한다는 말이다. 사실, 미국정부는 (=오바마 행정부는) 경제에 더 큰 치명상을 줄 수 있었던 상황을 피하게 하였던 재빠른 구제금융의 공금으로 2008년과 2009년 금융시스템을 구제하는 일을 훌륭히 해냈다. 하지만 은행의 적극적인 로비활동에 많이 흔들리면서, 금융업계를 다시 규제하고 실물경제와 연계시키는 일을 형편없이 못하고 있다. 모든 시민들의 재정위험을 줄이는데 여전히 절실히 필요한 조치들이 여기 열거한 다섯가지이다.
5.        No. 1  Fix the Too-Big-To-Fail Problem
When the meltdown struck, everyone was forced to confront the concept of "too big to fail"--the idea that some banks are so large and so integral to the economy that they must be bailed out at any cost to avert systemic catastrophe. Crisis after crisis over the past year or so--from JPMorgan Chase's $7 billion in losses from wagers by the trader nicknamed the London Whale to the revelations about how some banks rigged the critical LIBOR interest rate--has proved that trouble at big institutions can still affect the broader economy and that Wall Street is as unconcerned with the fortunes of Main Street as ever.
Too-Big-To-Fail Problem:대마불사의 문제점meltdown: 노심용해 (=원자로의 중심이 녹아내린다는 의미=여기서는 금융시스템 붕괴의 위기) integral: 불가결한, 필수의, 완전한,정수의,빠뜨릴 수 없는 ,전체,적분 *리보금리 [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s ; LIBOR , 리보 金利 ] 런던의 금융시장에 있는 은행 중에서도 신뢰도가 높은 은행들끼리 자금 수요를 맞추기 위해 단기(3•6•12개월)에 주고받는 ‘런던 은행 간 제공금리. 자금 수요를 맞추기 위해 단기(3•6•12개월)에 주고받는 ‘런던 은행 간 제공금리’    *  In April and May 2012, large trading losses occurred at JPMorgan's Chief Investment Office, based on transactions booked through its London branch. The unit was run by Chief Investment Officer Ina Drew, who has since stepped down. A series of derivative translations involving credit default swaps (CDS) were entered, reportedly as part of the bank's "hedging" strategy. Trader Bruno Iksil, nicknamed the "London Whale", accumulated outsized CDS positions in the market. An estimated trading loss of $2 billion was announced, with the actual loss expected to be substantially larger. These events gave rise to a number of investigations to examine the firm's risk management systems and internal controls. 2012년JPMorgan의 런던지사에서 발생한 거래손실을 20억이라고 발표하였으나 실제로는 70억에 가까운 손실을 입었다. 
첫째 대마불사의 문제를 해결하라
금융시스템 붕괴의 강타를 맞았을 때, 모든 사람들은 “대마불사”라는 개념과 맞대결을 버릴 수 밖에 없었다. 대마불사란 일부 은행들은 너무 거대하고 경제에 필수불가결한 기관이라 조직적인 파국을 막기위해 어떤 댓가를 치르더라도 구제해줘야 한다는 개념이다. 지난 1년여에 걸쳐 계속되는 위기상황을 보면 거대기관들에서의 문제가 여전히 광역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월가는 일반투자가들의 재산에 예전이나 지금이나 관심이 없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계속되는 위기상황이란, 런던고래(London Whale=본명 Bruno Iksil)라는 별명을 가진JPMorgan Chase의 파생상품 트레이더가매매한 거래에서JPMorgan Chase는 70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한 사건에서부터 일부 은행들이 핵심이 되는 리보금리를 조작한 것이 밝혀지는 등의 사건을 말한다.
19.        No. 5    Reboot the Culture Of Finance                                                                  Banking was created to serve the real economy, not the other way around. But the U.S. economy has gone so far down the path of financialization, becoming so deeply embedded in and beholden to Wall Street, it's hard to remember that the original business of banks was very simple: lending to real people and businesses. The biggest banks make up a larger share of GDP than before the crisis. Yet access to credit for individuals and the small businesses that create the majority of new jobs remains tight, and economic growth remains below its long-term trend level.
becoming  so deeply embedded in and beholden to Wall Street:월가에 너무나 깊이 박혀있고, 너무나 큰 신세를 지고 있게 되어Trend-level: The finding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ata is showing a trend in a certain direction that is close to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is commonly found when the sample size is not large enough. 충분한 자료가 부족할 때 추세나 트렌드(=경향)의 방향을 보여주는 정도의 결과. 통계적으로 약간이나마 의미가 있는 수치나 방향
다섯째 금융문화를 다시 부팅시켜야 한다. (건전한 금유문화를 부활시켜야 한다는 의미)
실물경제에 도움을 주려고 은행이 생겼지 그 반대의 경우는 아니다. 하지만 미국의 경제가 너무도 금융 일변도로 가며, 월스트릿에 너무 깊이 연관되어 있고 너무 큰 신세를 지고 있어, 원래의 은행업무는 실물경제의 사람들과 기업체에 돈을 빌려주는 아주 단순한 일이라는 것을 기억하기가 힘들 정도이다. 가장 큰 규모의 대형은행들은 금융위기 전보다 국내총생산 중 더 많은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신규직장의 대부분을 창출하는 개인과 소기업들에 대한 대출문턱은 여전히 높으며 경제성장은 장기 트렌드 레블(=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경향이나 추세)을 여전히 밑돌고 있다.
20.        During the financial crisis we were told we had to grease the wheels of banking in order to keep the rest of the economy on track. That has proved wrong. Academic studies show that as finance has grown to be a larger percentage of the economy over the past 30 years, new-business creation has actually stagnated. Banks got bailed out; the real economy is still waiting. Many core problems of the crisis remain: for example, government-sponsored enterprises like Fannie Mae still back 90% of home mortgages, and it's not clear that the structures to support a healthy private system are yet in place.
stagnate: 정체하다, 흐르지 않다
금융위기 도중, 나머지 부문의 경제를 궤도에 계속 올려놓기 위해서 은행금융의 바퀴에 기름을 칠해야만 한다는 말을 우리는 들었다. 그 주장은 잘못된 것임이 들어났다. 학계의 연구들에 의하면, 지난 30년 동안 금융업계가 전체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더 커졌으나, 새로운 사업체의 창출은 실제로는 정체상태였다. 은행들은 구제를 받았으나 실물경제는 아지고 기다리는 중이다. 금융위기 당시의 많은 핵심문제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예를들면, 패니매와 같은 정부지원을 받는 기업들이 주택융자의 90%를 차지하며, 건강한 사기업 시스템을 지원하는 구조가 지금이라도 자리를 잡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21.        Academics like University of Texas professor and financial-crisis expert James Galbraith worry that in the age of high-frequency trading and global banking, lending to the real economy has become a relatively less attractive business model. "As the economist Hyman Minsky once put it, 'If you want small business, you need smaller banks,'" says Galbraith. 
텍사스 대학의 교수이며 금융위기 전문가인 제임스 갤브레이스와 같은 학자들은 하루에도 몇번씩 사고팔고 할 수 있는 트레이딩과 글로벌 금융의 시대에서, 실물경제에 돈을 빌려주는 업무는 비교적 덜 매력적인 사업모델로 보인다고 우려한다. “경제학자인 하이먼 민스키가 말한대로, ‘소기업의 육성을 원하면, 더 작은 은행들이 필요하다.’”라고 갤브레이스는 말한다.
22.        We may not get those anytime soon. But there are still some things that we can do to bring finance back in line with the rest of America. For starters, we could devise a better system for conducting the credit ratings of banks, one that doesn't involve credit agencies being paid by the very banks that they rate. (Unbelievably, this is still the case, five years on from the crisis.) We could get rid of the revolving door between Wall Street and Washington by compensating regulators appropriately rather than asking people earning five figures to police those making seven. "We should drastically increase the pay of our senior financial regulators so that they don't want--or need--to go back and forth from Wall Street to the public sector," says INET's Rob Johnson. Indeed, the money you'd likely save in preventing financial blow-ups via better regulation would be worth the expenditure.
public sector:공공부문
그런 더 작은 은행들을 가까운 미래에 만나보지는 못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금융을 나머지 미국과 보조를 같이 맞추도록 만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이 여전히 몇가지 있다. 은행의 등급을 수행하는 개선된 시스템을 고안해 낼 수 있겠다. 자신들이 평가하는 바로 그 은행들로부터 돈을 받는 그런 신용평가기관들은 배제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믿을 수 없는 일이지만, 금융위기 후 5년이 지난 지금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우리는 몇 만 달러 연봉을 받는 사람들에게 몇 백만 달러 연봉을 받는 사람들을 감시감독하라고 시키지 말고, 은행감독국 직원들을 적당히 (=충분히) 많은 보수를 줌으로써 월스트릿과 워싱턴 사이의 회전문을 없애버릴 수 있다. “고위 금융감독국 직언들의 봉급수준을 급격히 높여줌으로써 이들이 월스트릿에서 공공부문을 왔다갔다 하고 싶어하거나 그럴 필요가 없도록 해줘야 한다”고 INET의 랍 잔슨은 말한다. 실제로, 감독과 규제를 보다 철저히 함으로써 금융적 재난을 막음으로써 절약하는 돈을 생각하면, 그런 비용을 사용할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23.        We could also hold financiers more personally accountable for their actions. Columbia professor and Nobel laureate Joseph Stiglitz believes, along with a number of other academics, that CEOs of major banks should be legally culpable for bad deals. (Rules from 2002's Sarbanes-Oxley Act require the same for much of the rest of corporate America.) "If we had been able to put some people in prison, many fewer would have wanted to join in the bad behavior the next time around," says Stiglitz.
Nobel laureate: 노벨상 수상자  Nobel laureate in literate 노벨문학상 수상자
또 금융인 개개인에게 자신의 행동에 대한 개인적 책임을 좀 더 지게할 수도 있다. 콜럼비아 대학교수이며 노벨상 수상자인Joseph Stiglitz와 수많은 다른 학자들은 주요 은행들의 최고경영인들은 악성거래로 인한 손실에 법적 책임을 져야 마땅하다고 믿는다. (2002년에 제정된Sarbanes-Oxley법안의 규정은 은행외 대다수의 일반기업에 대하여 바로 그런 내용을 담고 있다.) “일부 금융업계 고위경영인들을 교도소에 보앴더라면, 다음에 그런 나쁜 행동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수가 훨씬 줄었을 것입니다.”라고Stiglitz는 말한다.
24.        It's a sad fact that some of the most cynical things that went on in the lead-up to the financial crisis, like banks making derivative bets against their own clients, were in fact perfectly legal. But other actions--including bankers' writing mortgages that they realized would go bad or risk managers' looking the other way during compromising deals--could have been prosecuted more vigorously. Higher abuse penalties and more vigorous prosecution may not make up for the fact that the structure of our banking system still isn't what it should be, five years on from the worst crisis in 70 years. But it would start to change the economics of malfeasance. If the past five years have taught us anything, surely they have showed that small losses can easily result in something much, much bigger. 
the economics of malfeasance: 부정행위로 점철된 경제
금융위기로 이어진 어이없는 일들 중 은행들이 자신들의 고객의 이익에 반하는 금융파생상품 거래를 하는 것이 엄연히 합법적이었다는 것은 슬픈 사실이다. 하지만 금융업계의 다른 행동들, 이를테면 위험한 거래를 하는 동안 악성채무가 될 것을 알거나, 매니저가 철저히 검토하지 않고 슬쩍 넘어가주는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범법으로 기소하는 일이 있었더라면 좋았을 것이다. 70년 내 최악의 금융위기를 맞은 뒤 5년이 흐른 지금 제도남용에 대한 강화된 처벌과 좀 더 적극적인 사법처리를 한다고 해서, 본래의 취지에서 어긋나는 금융시스템 구조에 대한 충분한 벌충이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렇게 한다면 부정행위로 점철된 경제를 변화시키는 첫 행동이 될 수는 있다. 지난 5년이 우리에게 가르친 교훈이 있다면, 작은 손실은 너무나도 쉽게 나중에는 훨씬 큰 상황으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이다.
DISCLAIMERS: 이 글은 개인회원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으며, 이 내용을 본 후 결정한 판단에 대한 책임은 게시물을 본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는 이 글에 대한 내용을 보증하지 않으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라디오코리아의 모든 게시물에 대해 게시자 동의없이 게시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 등의 행위는 게시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금합니다.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하는 경우 저작재산권 침해의 이유로 법적조치를 통해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an individual, and the author is full responsible for its content. The viewer / reader is responsible for the judgments made after viewing the contents. Radio Korea does not endorse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assumes no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using the information. In principle, all posts in Radio Korea are prohibited from modifying, copying,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all or part of the pos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ublisher. Any modification, duplication, distribution, or transmission without prior permission can subject you to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