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목적으로 영화, TV 제작 유치를 위해 활동 중인 시민단체가 현재 촬영 허가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편을 촉구하고 나섰다.
비영리 단체 Film LA는 LA 시와의 계약을 통해 촬영 허가를 독점적으로 관리해오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 LA 시와 계약 갱신을 앞두고 외부에서 “개선의지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시민단체 ‘Stay in LA’의 프로듀서 케이트 홀구인(Kate Holguin)은 시 의회와 시장실 등에 ‘Stay in LA’가 총 50가지의 구체적 개혁안을 제시하며, LA 지역 제작 일자리를 다시 늘릴 방안을 제안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렇지만 Film LA 측은 관련 회의에 초대받았음에도 불참했다는 것이 케이트 홀구인의 지적이다.
개혁에 대한 의지가 없다는 것이다.
시민단체 ‘Stay in LA’의 주요 개혁 요구 중 하나는 ‘티어(등급)별 허가 수수료 부과’다.
현재는 대형 스튜디오 영화와 저예산 독립 영화 모두 동일한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구조로 돼있다.
쇼러너 노엘 스테먼(Noelle Stehman)은 LA 시의 이러한 구조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하고, 많은 제작사들이 LA를 떠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노엘 스테먼은 지난 4월 Film LA에 관련 문제를 제기했지만 “검토하지 않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노엘 스테먼은 Film LA가 진정으로 변화에 참여할 의지가 있다면, 이러한 핵심 문제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 ‘Stay in LA’ 측은 기존의 Film LA 외에도 촬영 허가를 더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는 대체 민간 업체들이 있다며, 독점 구조를 깨고 경쟁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Film LA와 LA 시 정부 측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LA의 TV 영화 산업은 해당 분야 뿐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크다는 점에서 촬영 허가에 대한 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시민단체 ‘Stay in LA’, 촬영 시스템 전면적 개편 요구
티어별 ‘허가 수수료’ 제도, 중소 제작사에 과도한 부담
비영리단체 ‘Film LA’, 시와 계약해 촬영 허가 독점적 관리
티어별 ‘허가 수수료’ 제도, 중소 제작사에 과도한 부담
비영리단체 ‘Film LA’, 시와 계약해 촬영 허가 독점적 관리

Photo Credit: Radio Korea
<저작권자 © RK Media,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