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입력폼

"북, 美대북정책 전달 추가접촉에 무반응"…탐색전 속 기싸움

연합뉴스 입력 05.05.2021 01:05 PM 조회 303
WP, 당국자 인용해 보도…"북과 대화 때까지 대북특별대표 지정 필요 없다"
북미 대화재개 문제 놓고 긴장고조 가능성…"전략적 인내 복귀 우려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PG)
[홍소영 제작] 일러스트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새로운 대북정책 검토 결과를 전달하기 위해 북한과 추가 접촉을 시도했지만 반응이 없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석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당장 임명할 계획도 없다고 전했다.

북한이 바이든 대통령의 대북정책 기조에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하며 추가 도발 가능성까지 열어둔 가운데 북미 대화 성사를 둘러싼 긴장 고조와 탐색전 등 기싸움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으로 보인다.

WP의 외교·안보 칼럼니스트인 조시 로긴은 이날 '바이든의 대북 전략 : 서두르되 기다리기'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미 고위 당국자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칼럼에 따르면 2명의 고위당국자는 '바이든 팀'이 미국의 새 대북정책 검토 결과를 전달하기 위해 북한에 두 번째 접촉 시도를 했지만 북한이 응답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의 첫 한일 순방을 앞둔 지난 3월 13일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행정부가 2월 중순 이후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과 접촉하려고 시도했지만 어떤 답변도 없었다고 보도했고, 백악관도 이를 확인한 바 있다.

이후 북한은 3월 18일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의 담화를 통해 미국의 접촉 시도를 확인하고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이 철회되지 않는 한 그 어떤 접촉이나 대화도 이루어질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우리는 앞으로도 계속 이러한 미국의 접촉 시도를 무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긴의 칼럼이 맞는다면 바이든 행정부는 대북정책 검토 완료 시점 전후로 북한에 또다시 접촉을 시도했지만 북한이 호응하지 않았다는 뜻이 된다.

북한은 미국의 적대정책 철회, '강대강, 선대선 원칙'을 내세우며 바이든 행정부가 먼저 행동에 나설 것을 요구하지만, 미국은 대북정책의 큰 방향 제시 외에 구체적인 내용이나 조처에 대해서는 아직 언급하지 않고 있다.

블링컨 장관은 지난 3일 새 대북정책이 외교에 초점이 있고 북한이 이 기회를 잡길 희망한다면서 수일, 수개월 간 북한의 말과 행동을 지켜보겠다고 언급하며 북한에 공을 넘겼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달 30일 대북정책 검토 완료를 선언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실용적 접근을 통한 외교적 해법을 모색한다는 대북정책 검토 결과를 내놨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로긴은 또 백악관이 북한 문제를 전적으로 맡을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결정하지 않았다면서 현재로선 이 역할을 충원할 계획이 없다는 고위 당국자의 발언을 전했다.

이 자리는 대북특별대표를 겸직한 스티븐 비건 전 국무부 부장관이 지난 1월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물러난 뒤 공석으로 남아 있다.

이 당국자는 국무부가 공석인 대북 인권특사를 지명할 계획이라면서도 북한과 대화가 있을 때까지는 협상을 이끌 대표를 지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지금 당장 (대북문제를) 책임질 지정된 인사가 필요하지 않다"며 "우리가 (대북정책) 검토를 완료하고 이를 내놨으며 이에 대해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은 일이 꽤 잘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로긴은 미국의 새 대북정책이 "근본적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긍정적 움직임을 보이길 기다리려는 것"이라며 "이는 조만간 일어나지 않을 것처럼 보이며, 일정하게는 버락 오바마 시대의 정책인 '전략적 인내'로의 복귀처럼 들린다"고 평가했다.

또 '전부 또는 전무' 합의 대신 점진적이고 소규모의 합의를 추구하는 것이고 정치적 셈법이 충분히 합리적이라면서도 바이든 팀이 "바빠 보이지만 전술적으로 현상 유지를 지지하는 익숙한 패턴으로 미끄러지고 있다는 우려가 일부 당국자, 전문가, 외교관 사이에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로긴은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위협 증대는 미국 입장에서 협상 조건이 나빠지는 것을 의미하고, 새 대북 제재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가 없어 이전 행정부의 '최대압박'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며 김 위원장에게 협상 복귀를 확신시키려면 정치적 비용이 따르는 양보가 필요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가 몇몇 외교정책 우선순위를 갖고 있지만 북한에 관한 시간과 자원, 정치적 자본 소비는 그 우선순위 중 하나가 아님은 분명하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하고, 늦기 전에 차라리 일찌감치 그 일을 하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0/300
※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 댓글이 없습니다